본문 바로가기

개발/Study

(4)
트러블 슈팅(trouble shooting) 트러블슈팅(troubleshooting)은 문제해결의 일종으로, 망가진 제품, 또는 기계 시스템의 망가진 프로세스를 수리하는 일에 주로 적용된다. 문제 해결을 위해 문제의 원인을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찾는 일이며 제품이나 프로세스의 운영을 재개할 수 있게 한다. 트러블슈팅은 증상 식별에 필수적이다. 개발을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복잡한 상황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구조적으로 진단해 해결해 나아가는 것. 문제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고, 프로젝트 규모가 커질 수록 발생하는 문제점 또한 커지고 많아 질 수 있다. 문제를 발생하게 되는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개선과 보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트러블 슈팅은 이러한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들을 하나씩 해결해 나가는 방법이다. 체계적으로 문제를 해..
[Web] Content-Type 과 Content-Disposition 브라우저가 Content를 처리하는 방법은 Content-Type 과 Content-Disposition 속성을 조합 함으로써 결정된다. Content-Type 개체 헤더는 리소스의 media type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전송되는 Content가 어떤 유형인지 알려주는 목적을 가진다. Content-Type을 통해 브라우저는 해당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 지 판단한다. TEXT 타입 Content-Type : text/css Content-Type : text/html Content-Type : text/javascript Content-Type : text/plain - 텍스트 파일에 대한 기본 값 FILE 타입 Content-Type : application/msword - doc Cont..
[JAVA]접근 제한자 접근 제한자 접근 제한자는 클래스 내부 또는 외부에서 어떤 메소드나 필드에 접근할 때 제한에 따라 차단할 수 있다. 클래스를 설계할 때 외부 클래스에서 접근할 수 있는 객체와 접근할 수 없는 객체로 구분하여 필드, 생성자, 메소드를 생성한다. 접근 제한자에는 private, public, protected, default, static 있다. private : 같은 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public : 어디서든 자유롭게 모든클래스들이 접근이 가능하다. protected : 같은 클래스 내부, 상속받은 자식에서는 부모 클래스에 접근이 가능하다. default : 아무것도 선언하지 않은 경우 같은 패키지 내부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따로 접근 제한자를 명시하지 않으면 default로 설정된다...
[JAVA]오버로딩(Overloading) & 오버라이딩(Overriding) 자바에서 다형성(polymorphism)이란 하나의 객체가 여러 가지 타입을 가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형성을 지원하는 방법으로는 메소드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이 있다. 오버로딩(Overloading)이란 같은 이름의 메소드를 중복하여 정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바에서는 원래 한 클래스 내에 같은 이름의 메소드를 둘 이상 가질 수 없다. 하지만 매개변수의 개수나 타입을 다르게 하면, 하나의 이름으로 메소드를 작성할 수 있다. 즉, 메소드 오버로딩은 서로 다른 매개변수 개수나 타입을 갖는 여러 메소드를 같은 이름으로 정의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오버라이딩(Overriding)이란 상속 관계에 있는 부모 클래스에서 이미 정의된 메소드를 자식 클래스에서 같은 매개변수 개수나 타입을 갖는 메소드로 다시 정..